中항모 성능 美 따라붙었다…푸젠함 ‘전자식 사출기’ 시험 성공
페이지 정보

본문
중국 인민해방군 엑스(X)
재기 곧장 쏴올려 빠른 시간 이륙
美 제럴드포드함 이어 두 번째 성공
중국이 세 번째 항공모함 ‘푸젠함’에서 전자식 캐터펄트(사출기)를 이용한 함재기 이착륙 훈련에 성공했다. 지금까지 미국 등 극소수 군사강국만 실전에서 운용했던 항모 사출 기술을 중국도 구현하며 양국의 항모 기술 격차가 빠르게 좁혀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중국 해군은 23일(현지 시간) 공식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전자식 캐터펄트가 장착된 푸젠함에서 J-15T, J-35, KJ-600 등 함재기 3종의 이착륙 및 정지 훈련을 진행해 성공했다고 밝혔다. 해군은 “푸젠함의 전자식 사출 및 회수 작전 능력을 입증했다”고 강조했다.
푸젠함은 중국 최초로 전자식 캐터펄트를 장착한 항공모함이다. 함재기를 곧장 쏘아올리는 전자식 캐터펄트 방식은 제한된 시간에 더 많은 함재기의 이륙을 가능하게 한다. 현재 이 장치를 갖춘 항모는 미 해군의 제럴드 R. 포드함과 푸젠함 두 척뿐이다. 그 외에는 ‘증기식’ 캐터펄트나 스키점프대 방식을 사용 중이다.
사출기 운용에 성공한 중국이 미국과의 격차를 좁히며 항모 기술 경쟁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는 평가가 나온다. 중국 관영 글로벌 타임스는 전문가의 말을 인용해 “푸젠함과 함재기의 핵심 능력이 세계적 수준에 도달했으며, 이는 중국이 주요 항모 보유국으로 부상했음을 의미한다”며 “중국 해군이 원양 작전 능력을 갖춘 해군으로 도약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이정표로 평가된다”고 설명했다.
푸젠함은 지난해 5월 첫 항해 이후 지금까지 아홉 차례 시험 항해를 진행했다. 이달 12일 대만해협을 통과한 사실이 확인되며 정식 취역이 임박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앞서 중국의 두 번째 항공모함인 산둥함은 2019년 말 첫 대만해협 항해를 마친 지 한 달 만에 정식 취역한 바 있다.
재기 곧장 쏴올려 빠른 시간 이륙
美 제럴드포드함 이어 두 번째 성공
중국이 세 번째 항공모함 ‘푸젠함’에서 전자식 캐터펄트(사출기)를 이용한 함재기 이착륙 훈련에 성공했다. 지금까지 미국 등 극소수 군사강국만 실전에서 운용했던 항모 사출 기술을 중국도 구현하며 양국의 항모 기술 격차가 빠르게 좁혀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중국 해군은 23일(현지 시간) 공식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전자식 캐터펄트가 장착된 푸젠함에서 J-15T, J-35, KJ-600 등 함재기 3종의 이착륙 및 정지 훈련을 진행해 성공했다고 밝혔다. 해군은 “푸젠함의 전자식 사출 및 회수 작전 능력을 입증했다”고 강조했다.
푸젠함은 중국 최초로 전자식 캐터펄트를 장착한 항공모함이다. 함재기를 곧장 쏘아올리는 전자식 캐터펄트 방식은 제한된 시간에 더 많은 함재기의 이륙을 가능하게 한다. 현재 이 장치를 갖춘 항모는 미 해군의 제럴드 R. 포드함과 푸젠함 두 척뿐이다. 그 외에는 ‘증기식’ 캐터펄트나 스키점프대 방식을 사용 중이다.
사출기 운용에 성공한 중국이 미국과의 격차를 좁히며 항모 기술 경쟁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는 평가가 나온다. 중국 관영 글로벌 타임스는 전문가의 말을 인용해 “푸젠함과 함재기의 핵심 능력이 세계적 수준에 도달했으며, 이는 중국이 주요 항모 보유국으로 부상했음을 의미한다”며 “중국 해군이 원양 작전 능력을 갖춘 해군으로 도약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이정표로 평가된다”고 설명했다.
푸젠함은 지난해 5월 첫 항해 이후 지금까지 아홉 차례 시험 항해를 진행했다. 이달 12일 대만해협을 통과한 사실이 확인되며 정식 취역이 임박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앞서 중국의 두 번째 항공모함인 산둥함은 2019년 말 첫 대만해협 항해를 마친 지 한 달 만에 정식 취역한 바 있다.
- 다음글7월5일 일본 ‘난카이 대지진’ 현실 되면…“한반도 30㎝ 흔들” 25.07.05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